본문 바로가기

150달러 한국돈으로 얼마길래 관세가 나오는거야?

by 파란사장 2024. 11. 1.

150달러 한국돈으로 얼마길래 관세가 나오는 걸까? 해외직구하면서 관세가 나올 때마다 궁금했을 것이다.

내가 해외직구를 통해 1,700건 넘게 통관시킨 경험을 통해 관세가 가장 많이 나오는 품목과 사전에 관세가 얼마 나오는지, 관세측정기준은 무엇인지 공유하려고 한다.

 




 

[목차여기]

 

구매금액 얼마부터 관세대상인가?

150달러 한국돈으로 얼마일까?

150달러는 한국돈으로 약 20만원 정도이다. 만약 쿠팡에서 20만원 이상의 제품을 해외직구로 구매했다면 관부가세 대상이다.

달러의 경우 환율이 계속해서 변동되니 달러가 오른다면 21만원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내린다면 20만원 이하인데도 관세 대상일 수 있으니 구매 전 달러 환율을 꼼꼼히 확인하는 게 좋다. 

150달러 이하의 제품인 경우는 관세가 면제이니 별도의 비용이 부과되지 않는다.

 

출고 건수 1700개 인증, 문제발생전에 먼저 연락주는 중국배대지 추천

 

출고 건수 1700개 인증, 문제발생전에 먼저 연락주는 중국배대지 추천

유튜버들이 추천하는 배대지를 써봤지만 유튜버들이 알려주는 내용과는 달랐다. 대부분 강의와 연계된 배대지라 수강생들이 몰리면 연락이 되지 않았고, 문제가 생겼을때 책임을 전가하는 모

opm1000.tistory.com

하지만 이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니 이게 궁금해서 내 글을 클릭했다고는 생각 안 한다.  구매대행을 통한 1,700개 이상의 제품을 통관시킨 경험을 통해서 많은 꿀팁들을 준비했다.

 

 

관세 측정 기준은 판매가? 구매가?

관세 측정 기준 예시

관세 측정기준은 판매가=구매가이다.

무슨 말이냐면, 당신이 구매자라면 구매한 쇼핑몰의 구매기준으로 측정된다. 판매자라면 당신의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판매가 기준으로 측정된다.

위 사진을 예시로 들면 내가 에어팟을 21만원 주고 구매했다면 관세를 내야 한다. 반면에 에어팟을 21만원에 판매하는 판매자라면 쇼핑몰 판매가 기준으로 관세가 측정된다.

 

 

사전에 관세비용 계산하기

관세비용 계산하기

관세 사전에 얼마 나오는지 계산해보기

원칙적으로는 세관에서 관세를 부과하기 전까지 100% 정확한 관세 측정방법은 없지만 사전에 예측은 가능하다.

'해외직구물품 예상세액 조회시스템'을 활용하면 위 사진처럼 사전에 관세가 얼마 나오는지 알 수 있다. 관세 계산법은 (관세+개별소비세+주세+교육세+부가세)를 합산한 것이다.

위 사진을 예시로 들면 250만원짜리 명품백을 구매했을 때 내가 내는 관세는 67만 원 정도라는 걸 알 수 있다.

 

관세가 가장 많이 나오는 품목

관세가 가장 많이 나오는 품목

예측했겠지만 관세가 가장 많이 나오는 품목들은 주로 '명품'들이다.

20만원 이상이면 관부가세 대상인데 '명품'중에 20만원 이하인 제품이 있던가? 명품일 경우 거의 100만원이 넘어가니 명품을 구매했다면 무조건 관부가세가 나온다고 생각하면 된다.

※ 20만원이 초과라면 공제 없이 (물품가격+운임+보험료)등에 대한 과세가 추가된다. 

 

 

관세안내는 방법은 없을까?

국가법령정보센터-관세법위반 판례
출처-국가법령정보센터(관세법위반)

우선 관세를 안 낼 수 있는 방법은 있다. 바로 세관에 신고할 때 금액을 관세가 안 나오게끔 속이면 되는데 운 좋으면 안 걸리고 통관이 되기도 한다. 아니면 제품을 나눠서 통관시키면 안 걸리기도 한다. 

문제는 걸렸을 때인데, 실제 관세법 위반으로 처벌받은 사례를 보면 벌금이 상상을 초월한다. 대부분 구매자보다는 판매자들이 관세를 아끼려고 속이다가 적발되는 경우가 많은데, 저 판례를 보고도 속이고 싶다면 말리지 않겠다.

우리가 속이려는 기관은 동네 구멍가게가 아니라 국가기관이다. 관세를 내지 않으려다 적발 시에는 탈세 혐의가 적용되며 세관에서 의심이 된다면 이때까지 통관내역을 전부 확인하여 적발된 수량만큼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다. 

 




 

손해없는 해외직구

우리나라도 해외직구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인 만큼 해외사이트에서 명품이 할인한다고 무턱대고 사지 말고 물품가격+관세+배송비를 감안하여 주문하는 습관을 들이자.

대부분 관세+배송비를 제외한 할인제품에 눈멀어서 구매를 하면 실제 국내에서 구매했을 때보다 더 비싸지는 경우도 허다하다.